728x90 부자되기 프로젝트37 241112 오늘의 뉴스 클리핑: 트럼프, 가상화폐 자산의 수호천사가 될까 https://www.yna.co.kr/view/AKR20241112060100009 "트럼프, SEC 위원장에 친가상화폐 인사 물색중"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미국 대선 기간 '가상화폐 대통령이 되겠다'고 선언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증권거래위원회(SEC) 위...www.yna.co.kr 며칠전부터 난리다.트럼프가 된다는 소식에 테슬라 주식이 날아가고 ai 기반의 팔란티어가 날아가고 코인도 미친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상화폐가 진짜로 도입된다-는 이야긴데이것 때문에 비트코인도 다시 날아가고, 역시 규제에 춤추는 화폐이니 역으로 안전성은 보여주지 못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그래서 투자의 대상으로도 검토해야할지 자체가 고민이다. 비트코인 ETF를 참고해야할까? http.. 2024. 11. 12. 20대 직장인 연금 설계하기 - 연금저축펀드, IRP 결정했다! 연말정산을 준비하며.. 연금저축펀드와 IRP 이야기가 회사 단체방에서 등장했다.그래 오늘 낮은 코끝이 시리지는 않았지만 11월 11일은 연말 준비 시작하기 좋은 때다! 매일 미루고 미루다.. 연금저축펀드와 IRP를 공부해봤다.샤라웃 투- 뉴닉! 그래서 뭘 어쩌라는거냐- 라는 것을내 소득에 맞춰서 풀어보기로 했다. 일단 내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 결론 = 연금저축펀드 600만원만 넣기로 함, 그 안에 구성은 공부를 좀 해봐야 함. 1. 연금저축펀드는 해지할 수 있고(과세 뱉어야됨), IRP는 그보다 해지가 까다롭다(과세 뱉는건 마찬가지)ㄴ> 그러니, 55세까지 묻어두는 돈이라고 생각하고 신중하게 규모를 생각해야한다. 2. 세액한도는 각각 연금저축펀드는 600만원, IRP는 900만원인데 둘 다.. 2024. 11. 11. 2024 성과 목표… 90% 로딩 상태에서 점검 (20대 여자 저축 얼마나 모았을까) 전에 2024 목표를 설정한 내용이 있었다.https://sunshine1352.tistory.com/52 성공은 했느냐? 아뇨아직.. 2024 다짐티스토리에 먼지쌓인거부터 후후 불어놓고 흠흠! 2023년을 마감하고 2024년의 다짐을 하러 티스토리에 들렀다. 내년에는.. 1. 주간정산과 월말정산을 밀리지 않고 한다. 2. 정산 내용을 대충 티스토sunshine1352.tistory.com 흑흑..티스토리를 더 자주 썼으면 좀 더 자주 들여다봤을 것 같은데.아무래도 목표를 쓰고 잘 보이는 곳에 둬야 더 달성율이 높다는 말이 이런 말인 것 같다.올해의 10/12가 완전히 끝난 지금, 후반 점검을 해보고자 한다! 1. 주간정산과 월말정산을 밀리지 않고 한다: 달성율: 3% 미만..주간정산도 많이 못했고, 월.. 2024. 11. 8. 성공은 했느냐? 아뇨아직.. 2024 다짐 티스토리에 먼지쌓인거부터 후후 불어놓고 흠흠! 2023년을 마감하고 2024년의 다짐을 하러 티스토리에 들렀다. 내년에는.. 1. 주간정산과 월말정산을 밀리지 않고 한다. 2. 정산 내용을 대충 티스토리에 올린다. 그리고 카페에도 올린다. 3. 월 2권의 책을 읽는다. 그 중 반드시 한 권 이상은 경제에 관련된 도서여야 한다. 4. 내년에는 연 24권 이상의 책을 읽는다. 근데 닥치는대로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 ㄴ그래서 의식적으로 티비를 좀 덜 보기로 한다. 뜨개질은 역시 이북과 함께. 5. 시황 강의는 제때 듣는다. 6. 자기계발을 1년동안 놓지 않고 한다. 일본어 회화를 가능하게 만든다! 운동도 꾸준히, 체지방률 표준, 근육량 표준! 7. 뉴욕 여행 동안 영상일기를 남긴다. 유튜브에 링크 공개로 올리.. 2023. 12. 26. [경제용어 총정리]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와 물가 상승률의 관계는? (CPI) 소비자물가지수 확인하는 법 |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꾸하- 안녕하세요, 꾸꾸입니다. 오늘은 날로 치솟고 있는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 소비자 물가지수가 중요한 이유 위 뉴스는 오늘자로 '소비자물가지수'라고 검색하고 나서 뜬 기사들인데요, 이것만 봐도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소비자물가지수에 사람들이 예민해하고, 그것의 상승이 또 얼마나 주요이슈인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물가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대표 현상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생활을 안정화시키기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을 펴는 등 소비자물가지수는 경제 정책의 근간이 되기도 합니다. 📍 그래서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한 지수입니다. 📍 어떻게 알 수 있나요? 확인 방법 https://kosta.. 2022. 5. 24. 이전 1 2 3 4 ··· 8 다음 728x90